본문 바로가기
직접해본 것

남은 김밥 맛있게 먹기~ [따뜻한 김밥전]

by 환희환희 2018. 5. 23.
반응형
728x170

동네에 김밥이 맛있는 가게가 있어

우동을 사는 김에 김밥까지 포장해왔다.

 

그런데 우동을 먹고나니

벌써 배가 불렀다.

김밥생각은 사라져 그대로 냉장고로 직행~

 

이틀전에 사놓은 김밥을

냉장고에 넣어도 안심인것은

바로 김밥전으로 맛있게 먹을 수 있기 때문!!

 

 

 

 

초 간단

한끼 해결

김 밥 전

^^

 

 

 

(김밥전)

 

 

 

 

 

 

사용한 재료

 

 

김밥, 계란

 

+ 남은계란으로 계란전에 들어간 파

 

 

 

 

 

 

 

 

 

계란을 준비한다.

 

 

 

 

 

 

 

 

계란을 풀어놓는다.

 

 

 

(남은 계란으로 계란을 부쳐먹으려고 2개를 사용했으나

김밥1줄이면 계란1개로도 충분하다.)

 

 

 

 

 

 

 

 

 

냉장고에 들어가있던

김밥도 꺼내놓고

 

 

 

 

 

 

 

 

 

 

김밥을 계란물에 퐁당!

 

 

 

 

 

 

 

 

 

김밥을 하나씩 하나씩

달궈놓고 기름을 넣은 후라이팬에 올려둔다.

 

 

 

 

 

 

 

 

 

 

센불에 하면 계란색깔이 금방 변해버리고

김밥 속까지 따듯해지지 않기때문에

 

 

약한불로 뒤집어가며 전을 만든다.

 

 

 

 

 

 

 

 

 

계란이 타지 않게 여러번 뒤집어 준다.

 

 

 

 

 

 

 

 

 

 

 

 

 

 

 

 

노릇해진 김밥을 그릇에 담아낸다.

 

 

 

 

 

 

 

 

 

 

김밥 속재료에 간이 되어있기 때문에

계란물에는 따로 간을하지 않아도 된다.

 

 

 

 

 

 

 

 

 

 

 

남은 계란물에는 파를 잘라 넣고

맛소금을 약간 넣는다.

 

 

 

 

 

 

 

 

 

 

 

 

 

맛있게 익는 계란

 

 

 

 

 

 

 

 

 

계란말이 처럼 말아서

큼직하게 잘랐다.

 

 

 

 

 

 

 

김밥전과 계란전(?)

 

 

 

 

 

 

 

 

 

 

남은 김밥

맛있게 먹기

 

"김밥전"

 

 

 

 

 

 

#

 

만드는 방법

 

1. 계란을 풀어놓는다.

 

2. 김밥을 계란물에 묻힌 후 후라이팬에 부친다.

 

3. 이때 불은 약하게 하고 계란이 타지 않도록

앞뒤로 잘 뒤집어야 한다.

 

천천히 구워야 김밥 속까지 따뜻해진다.

 

 

 

 

 

 

#

출처 : 다음 백과사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김밥

 

밥에 여러 가지 속을 넣고 김으로 말아 싼 음식.

조선시대 이후 김을 활용한 음식문화가 발달하면서

근대에 들어와 김밥이 탄생하였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