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료일기

생리통 심한 사람이 추천하는 속 안 아픈 약 '탁센'

by 환희환희 2023. 12. 5.
반응형
728x170

생리통 약 추천

이지엔6를 거쳐 이젠 탁센으로

빈속에 먹어도 속이 안 아픈 약

※ 주의 ※

속이 아프고 안아프고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생리통이 심했다.

 

아마 내 기억엔 중학교 2학년 때였던 것 같다. 그때 처음 초경을 하게 되었고 그때부터 한 달에 하루이틀은 생리통으로 고생을 해야만 했다. 생리기간 때는 길거리를 걸어 다니는 것도 힘들 정도로 생리통이 심했다. 고등학교 때도 생리통 때면 참 많이 힘들었다. 그때마다 진통제를 챙겨 먹었고 그때는 집에서 잘 쉬어주었다. 그래도 이제와 생각해 보니 그때는 생리통이 그래도 아주 심각하지는 않았었나 보다. 지금은 생리통 때문에 결근을 해도, 그때는 생리통 때문에 조퇴는 했어도 결석한 일은 없으니 말이다.

 

이렇게 생리가 처음 시작된 이후로 지금까지 나는 생리통을 달고 살고 있다.

 

 


 

우먼스 타이레놀 → 이지엔6
생리통 약 : 우먼스 타이레놀 
* 흰색 타원형 알약
*주요 성분 : 아세트아미노펜 500mg, 파마브롬 25mg

 

생리통약은 처음엔 아마도 게보린, 아니면 타이레놀로 먹었던 것 같다. 그러다 우먼스 타이레놀이 있다는 걸 알게 된 이후로는 몇 년간 지속적으로 우먼스 타이레놀만 먹어왔었다. 우먼스 타이레놀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것 같은데 지금은 [무카페인, 무색소]를 강조하며 빈속에 먹어도 괜찮은 알약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 우먼스 타이레놀 홈페이지

우먼스타이레놀정 | 타이레놀 (tylenol.co.kr)

 

우먼스타이레놀정

여성을 위한 생리통 전용 진통제.

www.tylenol.co.kr

 


 

생리통 약 : 이지엔식스 이브
* 액상형 알약
* 주요 성분 : 이부프로펜 200mg, 파마프브롬 25mg
* 이지엔식스 홈페이지에서는 이부프로펜은 생리통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하는 소염진통성분이고 파마브롬은 이뇨작용으로 월경 전 긴장증, 부종, 경련에 효과적인 성분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우먼스 타이레놀을 지속적으로 먹다가 학교 후배로부터 이지엔식스를 추천받았다. 본인도 생리통이 심한 편인데 이지엔식스를 먹어보니 진통제 효과가 빠르다고 한다. 이지엔식스는 우먼스 타이레놀과 달리 액상형이라서 그렇다는 이야기도 했다. 그 이야기를 듣고 이지엔식스를 먹어보게 되었고, 실제로 먹어보니 진통효과가 빠른 것 같다고 느꼈다. 그래서 그다음부터는 주구장창 이지엔식스만 먹게 되었다.

 

처음에는 별생각 없이 일반 이지엔식스를 먹었는데 이브도 있다고 해서 그다음부터는 이지엔식스 이브를 먹기 시작했다. 아무래도 우먼스, 이브는 생리통에 특화된 약이다 보니 조금 더 낫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먹게 되는 면도 있다. 

 

참고로 우먼스 타이레놀과 이지엔식스 중에서 이지엔식스를 택하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아무래도 흰색 알약보다 액상형의 알약이 목 넘김이 편한 부분도 있기 때문에 더욱 이지엔식스를 찾게 되기도 했다.

 

| 이지엔식스 홈페이지

이지엔6 홈페이지 (ezn6.co.kr)

 

이지엔6 홈페이지

이지엔6 홈페이지

ezn6.co.kr

 

이지엔식스 홈페이지에서도 우먼스 타이레놀과 마찬가지로 속쓰림을 개선했다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었다. 하지만... 작년까지 이지엔식스를 먹을 때만 해도 새벽에 너무 아파서 빈속에 약을 먹은 적이 있었는데... 속이 뒤집어졌었다. 빈속에는 차라리 생리통을 견디고 약을 먹지 않는 게 나을 정도로 힘들었다. 그래서 친한 언니가 탁센을 추천하길래 탁센으로 바꿔보자 싶어 작년부터 탁센을 먹기 시작했다.

 


빈 속에 먹어도 괜찮았던
탁센 레이디
(그냥 탁센도 괜찮았다)

탁센 레이디, 이지엔식스처럼 액상형 진통제로 되어 있다.
탁센 레이디 약물 복용 사용설명서 (생리통약 추천)

생리통 약 : 탁센 레이디
* 주요 성분 : 이부프로펜 200mg, 파마브롬 25mg, 산화마그네슘 83mg
* 액상형 알약
* 이제까지 먹어 본 알약 중에서 속이 제일 편했다.

 

탁센은 이지엔식스와 주요 성분이 거의 같았다. 이부프로펜과 파마브롬이 같은 용량으로 들어가 있었는데 한 가지 다른 점은 탁센의 경우 산화마그네슘이 주요 성분으로 들어갔다는 점이다. 

 

탁센 레이디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니 산화마그네슘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 제산효과가 있는 산화마그네슘을 함유하여 진통제로 발생 가능한 위장장애 완화 ] 산화마그네슘이 들어간 액상형 진통제가 내 위장에는 다른 생리통 진통제보다 더 유효하게 작용한 게 아닌가 싶다.

 

 

탁센 레이디 실제 알약, 지금까지 먹은 진통제 중에서는 가장 속이 편안했다.

 

진통제 : 일반 탁센 (초록색 알약)
유효성분 : 나프록센 250mg

 

탁센은 초록색의 일반 탁센도 먹어보고 분홍색의 탁센 레이디도 먹어보았는데 둘 다 내 몸에는 괜찮게 반응했다. 일반 탁센은 탁센 레이디와 주효성분이 전혀 달랐다. 주효성분이 이렇게 다르다면... 꼭 산화마그네슘 첨가가 좋다고 할 수도 없을 것 같다 ㅎ 

 

아무튼 탁센은 초록색 알약과 탁센 레이디 분홍색 알약 모두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생리통으로 너무 힘들 때 빈속으로 먹어봤었는데 둘 다 위장장애 없이 무탈하게 넘어갈 수 있었다. 속 메슥거림(토할 것 같은 증상)이나 식은땀, 울렁거림 등이 딱히 일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내가 먹어본 생리통 약 중에서 속이 편안한 약으로는 탁센을 추천하게 된 것이다. 

 

| 탁센 홈페이지  

tak-sen 탁센소개

 

tak-sen 탁센소개

액상연질 캡슐이라 빠르게 탁, NSAIDs성분으로 강하게 센

www.tak-sen.com


 

개개인마다 체질이 다르고 약에 대한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를 수는 있다. 하지만 나처럼 지속적으로 힘든 생리통 기간을 겪고 있는 사람이라면, 위장 장애로 생리통 약을 빈속에 먹고 울렁거림 때문에 힘든 사람이라면 탁센도 한번 접해보시길 추천한다. 울렁거려도 괜찮은 상황에서 약간의 빈속일 때 먹어보고 괜찮다면 다음에도 빈속일 때 먹고, 그렇지 않으면 빈속에는 도전하지 마시길. 나 같은 경우는 집에 있을 때 빈속에 먹어보고 실제로 괜찮은지 확인 후에 탁센을 선택하게 되었다.

 

**약은 되도록 식후에 먹는 것이 좋다. 하지만 나처럼 새벽에 아파서 잠을 못자는 경우, 아침에 출근하기 힘들어 급하게 진통제를 먹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는 경우에 부득이하게 빈속에 먹는 경우가 발생해서 빈속에 먹어도 괜찮은 생리통 약을 찾는 사람에게 추천해본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